[ Node.js ]
-
[MongoDB] MongoDB 가입Node.js/주소록 만들기 2022. 8. 10. 14:51
✅ MongoDB 란? MongoDB는 대표적인 NoSQL(Non Relational Database)이다. RDB에서의 table, 행, 열의 개념이 없고, 하나의 데이터는 document라고 부르며, 이 document의 모움을 collection이라고 부른다. 모든 document들은 JSON 형식으로 저장이 되며 JavaScript에서의 object와 마찬가지로 고정된 형식이 없으며 항목의 추가 삭제가 자유롭고 DB에서 데이터의 조작은 JavaScript로 한다. ✅ MongoDB 가입 https://www.mongodb.com/cloud/atlas 위 링크에 접속한다. 페이지 접속 후 Try Free 버튼을 누른다. 자신의 이름과 사용할 이메일과 비밀번호를 입력하고 계정 생성을 진행한다. 여기서..
-
[Node.js] EJS로 동적 페이지 만들기Node.js/Hello World! 2022. 8. 8. 16:10
✅ EJS EJS는 Embedded JavaScript의 약자로 Express에서 dynamic website를 만들기 위해 template으로 사용되는 파일이다. EJS는 자바스크립트가 html 안에 내장되어있다. html 태그처럼 자바스크립트의 내용을 삽입할 수 있다. 또한 서버에서 보낸 변수를 사용할 수 있다. ✅ EJS 사용법 ejs에는 javascript 코드를 내장시키는 방법이 2개 있다. 사이에 원하는 javascript 코드를 작성하면 된다. Hello World! 위와 같이 작성하면 for문을 돌면서 Hello World! 가 5번 출력이 되어야 한다. 정상적으로 출력되는 것을 볼 수 있다. or 변수의 값을 출력시킬 경우 혹은 를 사용한다. 반복문을 돌면서 i의 값 0 1 2 3 4 가..
-
[Node.js] Static 폴더 추가하기Node.js/Hello World! 2022. 7. 28. 17:55
✅ 정적 웹페이지(Static web page) 정적 웹페이지(는 저장된 그대로 사용자에게 전달되는 웹 페이지로 내용이 바뀌기 전까지 계속 같은 화면을 보여주는 페이지이다. 즉, 정적 웹 페이지는 모든 상황에서 모든 사용자에게 동일한 정보를 표시하며, 콘텐츠 타입이나 문서 언어의 협상을 위해 웹 서버의 현대적 기능에 종속된다 예를 들면, 회사 홈페이지에서 CEO 인사말 혹은 연혁, 기업가치 등이 정적 웹페이지이다. ✅ 동적 웹페이지(Dynamic web page) 동적 웹페이지는 정적 웹페이지와 반대되는 개념이다. 정적 웹페이지는 항상 동일한 정보를 표시하지만, 동적 웹페이지는 항상 일정하지 않고 변화가 있다. 예를 들면, 게시판이나 SNS 같이 데이터가 입력, 출력, 삭제, 수정이 되는 페이지들이 동적..
-
[Node.js] Express로 서버 실행하기Node.js/Hello World! 2022. 7. 27. 14:31
✅ Express란? Express는 node.js로 서버를 만드는 framework이다. ✅ Express로 서버 실행하기 우선 Node.js 서버를 구축하기 위해 개발 툴은 Atom Editor를 사용할 것 이다. Atom 은 https://atom.io/ 에서 다운로드가 가능하다. 1. 프로젝트 폴더 생성 및 원격 저장소 연동 자신이 원하는 폴더명으로 폴더를 생성(mkdir)하여 그 폴더를 git 저장소(git init)로 만든다. 그 후 자신의 GitHub에 폴더명과 동일한 Repository를 생성한다. $ git remote add origin [원격저장소 주소] 명령어로 자신의 원격 저장소 주소를 연동한다. 2. node 프로젝트 생성 $ npm init npm init 명령어로 현재 폴더에..
-
[Node.js] Node.js 설치Node.js 2022. 7. 26. 16:22
✅ Node.js 설치 https://nodejs.org Node.js Node.js® is a JavaScript runtime built on Chrome's V8 JavaScript engine. nodejs.org 위 링크에 접속한다. LTS(Long Term Support)는 장기 지원 버전, 곧 일반적인 경우보다 장기간에 걸쳐 지원하도록 특별히 고안된 버전이다. Current는 현재 가장 최신 버전이다.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한 후 설치를 진행한다. $ node -v $ npm -v 위의 명령어로 정상적으로 설치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node는 정상적으로 설치가 되었지만 npm은 "npm WARN config global `--global`, `--local` are deprecated. Us..
-
[Node.js] NPMNode.js 2022. 7. 26. 16:00
✅ NPM 이란? NPM은 Node Package Manger의 약어로 Package는 Node.js의 라이브러리를 뜻한다. Node.js의 Package는 https://www.npmjs.com 에서 검색할 수 있다. NPM은 Package를 command line에서 명령어 입력으로 다운로드할 수 있게 해 주는 프로그램 NPM은 Node.js 설치 시 자동으로 설치된다. ✅ NPM 명령어 $ npm init 현재 폴더에 package.json 파일을 생성 pageckage.json은 node 프로젝트에 대한 설명을 저장한 파일인데, 이 안에 dependency package 목록이 기록되어 있다. npm init을 입력하면 아래의 항목을 입력받는 창이 뜨는데, 모두 선택사항으로 입력하지 않아도 실행에..
-
[Node.js] Node.js 란?Node.js 2022. 7. 21. 09:58
✅ Node.js 란? Node.js는 Chrome V8 JavaScript 엔진으로 빌드된 JavaScript 런타임이다. Node.js는 JavaScript를 서버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든 프로그램이다. Node.js는 V8이라는 JavaScript 엔진 위에서 동작하는 자바스크립트 런타임(환경)이다. Node.js는 서버사이트 스크립트 언어가 아니다. 프로그램(환경)이다. Node.js는 웹서버와 같이 확장성 있는 네트워크 프로그램을 제작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확장성 있는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특히 서버 사이드) 개발에 사용되는 소프트웨어 플랫폼이다. Node.js를 설치하면 터미널 프로그램(윈도우의 cmd, 맥 OS의 terminal 등)에서 JavaScript 코드를 바로 실행할 수 있다. ..